어린 왕자, 뽀로로 에디로 유명한 사막여우는 어떠한 먹이를 먹으며 생김새는 어떠할까요? 사막여우의 생김새, 수명, 먹이, 사는 곳 등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사막여우가 물은 어떻게 먹는지, 사막이라는 환경에서 체온조절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증을 해결해드립니다.
▣ 사막여우 특징(생김새, 수명, 먹이, 사는 곳, 새끼)
1) 생김새
전 세계 여우 중에서 가장 체구가 작은 사막여우는 몸에 비해 커다란 귀를 갖고 있어요. 몸길이는 36㎝, 꼬리길이는 18~31㎝, 얇고 커다란 귀는 15㎝정도 됩니다. 발바닥에 있는 털은 사막 모래에 빠지지 않고 잘 뛰어다닐 수게 도와준답니다. 다른 여우와 마찬가지로 털이 많은 기다란 꼬리를 갖고 있어요. 낮에 땅속에서 자거나 저녁에 쉴 때 꼬리로 이불처럼 보온 역할을 하는 거죠. 몸의 털 또한 얇고 사이가 촘촘하여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한 사막에서도 견딜 수가 있어요.
- 커다란 귀 : 몸에 비해 커다란 귀는 열을 밖으로 보내어 체온 조절을 해요.
- 발바닥 털 : 사막의 모래에 빠지지 않고 뛰어다닐 수 있지요.
- 몸의 털 : 얇고 빽빽한 털로 뜨거운 낮과 추운 밤을 견딜 수 있어요.
2) 수명
스트레스에 매우 예민한 사막여우의 수명은 10년 정도로 오래 살지 못해요. 삶의 터전을 사람으로부터 침해받고 스트레스 받게 되면 생식활동을 포기할 정도로 예민해지고 수명도 짧아지게 되는 거랍니다.
3) 먹이
곤충, 작은 파충류, 새나 새알, 작은 쥐, 과일 등을 잡식으로 먹어요. 곤충을 사냥할 때는 큰 귀로 곤충들이 날갯짓하는 저주파를 들을 수 있으며 땅에 귀를 대어 땅의 울림으로 땅속 먹잇감을 찾기도 해요.
4) 사는 곳
사하라 사막과 수단의 누비라 사막 등 북아프리카, 중동의 사막지대에 살고 있어요.
사막에서도 바닥이 단단한 튼튼한 곳에 참호 같은 여러 갈래의 땅굴을 파고 가족단위로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답니다. 안식과 자기 보호를 위한 거죠. 자연 천적은 하이네나, 쟈칼, 부엉이 등이 있고 야행성이라 밤에 활동해요.
5) 새끼
1월~5월 사이에 임신하고 50일 후에 한배에 2~5마리의 새끼를 출산해요. 사막여우는 가둬두고 키우면 예민한 성격 때문에 거의 번식하지 못한대요. 70일 정도 어미젖을 먹고 생후 3주가 되면 고기도 먹기 시작하지요.
◈ 사막여우가 물은 먹는 방법은?
곤충, 작은 파충류, 과일 등을 먹는 사막여우는 그 먹이에서 대부분의 수분을 섭취해요. 따로 물을 먹지 않아도 살아갈 수 있게 환경에 진화된 거죠.
◈ 체온조절은 어떻게?
15㎝정도의 얇고 커다란 귀는 몸의 열을 밖으로 보내며 체온을 낮춰주는 역할을 해요. 또한 얇고 털 사이가 촘촘하게 나있기 때문에 낮의 뜨거운 열기와 밤의 추위를 견딜 수 있는 거죠. 얇고 커다란 귀와 촘촘한 털을 지니고 있어 낮과 밤 기온차가 큰 사막에서 잘 살 수 이유랍니다.
함께 보면 도움 되는 정보↓
[사막여우]특징과 사막에서 잘 사는 이유, 사막에 사는 동물은?
사막여우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사막지대에 살고 있습니다. 먹이는 과일, 벌레(전갈과 흰개미), 작은 쥐, 도마뱀, 알 등을 먹습니다. 사막여우의 특징과 사막에서 잘 사는 이유 1. 머리에 비해 얇
shinesodam01.tistory.com
쿵푸팬더 스승 시푸, 레서판다 멸종위기종(생김새, 먹이, 특징)
쿵푸팬더에 나오는 시푸 사부를 기억하시나요? 시푸모델이 바로 레서판다인데요. 레서판다의 얼굴생김새와 고리무늬 꼬리는 너구리와 개를 떠오르기도 합니다. 레드판다라고도 불리는 레서판
shinesodam01.tistory.com
사막여우의 큰 귀, 몸에난 털, 발바닥 털로 체온조절을 하고 곤충, 과일의 수분 섭취만으로도 살기 때문에 사막에서도 잘 살고 있어요. 귀여운 생김새와 달리 성격이 예민한 사막여우의 특징인 수명, 먹이, 사는 곳, 출산까지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동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쿵푸팬더 스승 시푸, 레서판다 멸종위기종(생김새, 먹이, 특징) (0) | 2023.05.17 |
---|---|
고슴도치와 호저 차이점, 가시 발사는 사실? (0) | 2022.10.27 |
어린 정어리, 청어, 멸치 청어목 어류 구분법 (0) | 2022.10.23 |
[대왕고래] 지구상 가장 큰 동물은? (0) | 2022.10.13 |
댐건설의 달인 비버와 자이언트 비버 멸종 이유 (0) | 2022.02.14 |
댓글